카테고리 없음

퇴사후 국민연금 계속납부?지역가입 실업크레딧으로 고민해결!

가솔 2024. 11. 18. 19:30

직장에 소속되어 급여를 받는 분들은 국민연금을 의무적으로 가입하여 회사와 본인이 반반씩 부담하여 매월 국민연금을 납부하고 계실겁니다.

 

하지만 퇴사후에는 이런 혜택이 사라지고 당장 소득이 없는 상태가 되면 국민연금을 계속 납입해야 할지 납입 중지를 해야 할지 부터가 고민이 되기 시작합니다.

 

그러한 고민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 연금정보에서 해결방법을 상세하게 알아 볼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의 가입형태는 사업장가입자, 지역가입자, 임의 가입자, 임의계속가입자로 크게 나뉘어집니다.

 

직장가입자에서 퇴사하면 지역가입자로 전환됩니다.이때 지역가입자로 전환시 선택할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지역가입자로 전환되어 계속납입(소득이 있는 경우)

국내에 거주하는 국민중  18세이상 60세 미만인 사람중 직장 가입자가 아니라면 지역가입자가 됩니다. 지역 가입자의 국민연금 납부 금액은 기준소득월액에 따라 결정됩니다.

 

지역 가입자의 소득월액은 본인이 신고한 소득으로 기준소득월액이 결정됩니다. 자세한 가입대상과 기준소득월액 결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국민연금 홈페이지 연금정보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가입자의 연금납입의 부담을 덜고자 국민연금납입 지원제도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준소득월액에 따라 월 납입액과 월 지원액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임의가입 (소득이 없는 경우)

임의가입은 말 그대로 사업장, 지역가입자에 해당 되지는 않지만 계속 국민연금에 가입하여 혜택을 받고자 하는 사람들이 신청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국민연금 공단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 '내 곁에 국민연금'을 통한 신청도 가능합니다. 

 

소득이 없는 주부들도 임의가입을 신청하여 최소한의 연금납입을 통한 노후 준비를 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실업크레딧 활용

퇴직 후 구직급여를 받는 실업자를 대상으로 연금납입액중 국가가 75%를 지원해 주는 제도이니 해당 되시는 분들은 꼭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실업크레딧은 실업상태에서도 국가의 지원을 받아 연금 납부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납부예외신청

앞서 소개해 드린 위의 세 가지 방법은 기존에 납입하던 국민연금을 계속 유지하고자 하는 방법입니다. 나중에 수급하게 될 연금액을 위해 납입 금액도 중요하지만 납입 기간도 중요하여 그 기간의 공백이 없게 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봅니다. 

하지만 퇴직후 소득이 없는 상태라면 최소한의 납부도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때 생각해 볼 수 있는 방법이 납부예외 신청입니다. 

말 그대로 연금 납부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입니다. 당연히 그 기간만큼 납부개월수도 줄어들고 수급액도 줄어들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어떤 방법이 나에게 적합한 선택인지 생각해 보고 현재 본인의 소득이나 경제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